Lee Hanbum

Writing

유사함도 차이도 아닌: 전보경의 최근 작업에 관한 노트

2022 서울시립미술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작성된 글.

 

전보경을 실험실의 엔지니어라고 한다면, 그의 업무 중 하나는 기계-사람1의 반복하는 움직임을 명령으로 변환하고 인간에게 입력하여 그것이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관찰하는 일일 것이다. 그래서 그는 스코어를 짜고, 안무가를 움직이게 하고, 영상을 만든다. 언뜻 보면 이 비교 실험은 기계-사람과 구분되는 인간의 고유함을 파악하려는 일인 것 같다. 다른 종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인간의 특수한 면모, 차이를 증거 삼아서 말이다. 하지만 그의 실험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들여다 보면, 전보경이 수행하는 실험의 목적은 그것으로부터 어느정도 벗어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가 문제 삼는 것은 기계-사람의 개념적 범주가 아니라 그것에 결속된 기술적 이데올로기이다. 즉, 인간의 노동을 본 따 산업 생산성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로봇의 움직임이라거나, 인간처럼 생각하고 말하도록 유도된 인공지능 같은 것들에 도입된 인위적인 프로그램 말이다. 이 프로그램은 모두 인간으로의 닮음에서 비롯하고 닮음을 추동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것은 우리와 닮아 있지만 다르고, 다르지만 닮아 보인다. 오리보다 진짜 같은 오리, 인간보다 진짜 인간 같은 기계를 통해 생명의 의미에 관해 숙고하는 오리는 오리가 오리다(2021)에서 전보경은 “인간은 인간을 인식하기에 인간을 만드는 것일까?”라고 물으며 이 닮음, 흉내내기를 문제시한다. 전보경은 닮음에 현혹되는 것을 경계하며 기계-사람의 존재론과 인간의 미학적 가능성을 동시에 검토한다. 그런데 왜? 이 실험의 목적이 단지 닮음 안에서 차이를 발견하는 일이라면, 불안에 떨며 인간을 규정하려 했던 수많은 진화론자들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보다 전보경이 이 실험들을 통해 질문하려는 것은 새롭게 등장하는 기계-사람과 인간 사이에 형성되고 있는 관계 자체다. 그들은 서로가 서로에게 어떤 이웃이 되어가고 있는가? 말하자면, 그의 실험은 기계-사람이라는 어떤 존재들과 인간이 어떻게 상호성을 형성해 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형성해 나가야 하는지를 묻는 인류학적 접근에 가깝다.

전보경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기계-사람의 형성은 인간에의 닮음을 중심축으로 이루어지고, 그렇게 닮음을 수행하게 되는 기계-사람의 존재는 거울상이 되어 다시 인간에게 피드백 된다. 그리고 이 순환의 고리가 반복됨으로써 기계-사람과 인간의 관계 양식은 협소해지고 존재의 양태는 단순해진다. 이 전반적인 전개 양상이 전보경이 문제로서 다루는 것이다. Zero: 오류의 동작(2020), 머신 러닝(날 사랑해?)(2021), 맹세컨대 나는 로봇이 아닙니다(2021), 추상기계(베타버전)(2022) 등의 영상 작업에서 기계-사람의 움직임을 다시 인간이 수행했을 때 생기는 오차와 예측 불가능성, 그리고 그 전개의 과정을 화면의 프레임이 포착해내는 이유는, 기계-사람과 인간이 그저 다르다는 것을 진술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기계-사람과 인간이 점점 더 하나의 프로토콜로 수렴되어 엉겨 붙는 신화를 해체하고 합성을 위한 공통장소를 마련하기 위한 일에 가깝다. 여기서 기계-사람과는 다른 움직임 프로그램을 훈련한 무용수들의 존재는 그 해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왜냐하면 그들의 움직임은 곧장 미적 양식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무용수들의 존재와 그들의 움직임은 ‘몸’을 둘러싼 서로 다른 사회적 프로그램을 경합시키는 장소가 된다.

경합과 경합에서 오는 긴장은 전보경이 기계-사람과 인간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는 과정에 있어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장치다. 왜냐하면 긴장이 이들 사이를 형성하는 관계 양태의 리얼리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반목과 대립의 마주하기로 형성되는 긴장이라기엔 보다 더 복잡해 보인다. Prove Yourself(2021)는 위아래로 병치된 화면에서 각각 인간과 기계-사람의 특성에 속한다고 할 만한 텍스트가 내레이션 되는 2채널 영상 작업이다. 인간이 ‘오류’에 속해 있다면, 기계는 ‘가능성’에 속한다. 인간이 ‘해석의 가변성’을 가진다면 기계는 ‘투입과 산출이 같다’. 또 인간은 ‘표현’하지만 기계는 ‘생산’한다. 영상은 이런 식으로 인간과 기계의 범주를 구분해 통념을 대비시키지만, 그 행간에서는 서로가 어떻게 서로를 의식하고 수용하고 반영하는지를 보여준다. ‘한국산업표준 3원칙’이 인간에게 기계되기를 요구한다면 ‘로봇 3원칙’은 인간을 최우선의 명령으로 받아들인다. 이는 인간과 기계가 유사함과 차이를 통해 구분되기보다는, 사실은 복잡한 방식으로 얽혀 있고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서로가 서로의 행위를, 서로에 대한 개념을 형성해 나가고 있음을 암시한다. 이 긴장의 리얼리티를 바라보지 않는다면, 인간과 기계는 ‘원본’과 ‘복제’라는 사고회로의 함정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표면적인 차이의 착시 아래로 내려가 전보경이 Prove Yourself 중반, ‘믿음’의 문제를 언급하는 이유가 여기 있는 듯하다. 사실 우리는 이 문제를 믿음의 형성과 작용으로서 이해해야 한다고 작가는 제안한다.

소네트: 기계가 인간에게(2022), 소네트: 인간이 기계에게(2022)는 인간과 기계가 각자 자기 방식으로 써서 서로에게 건네는 사랑의 서신이다. ‘사랑’이라는 표현은 작가가 직접 쓴 것이기도 하지만, 여기서 사랑이라는 것이 성립하는 이유는 이 서신에서 인간과 기계는 서로를 요구하고 환대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서로 닮아 보이지만 완전히 다른 세계를 가득한 불안 속에서 초대하는 일이다. 기계-사람과 인간, 둘의 문제에서 우리가 직시해야 할 것은 유사함과 차이를 발견하고 목록화하는 일이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형성되어가고 있으며 그 장소를 어떻게 만들 수 있는 지이다. 전보경이 최근의 작업을 통해 숙고하고 실험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현실을 다루는 일이다. 이것이 내가 다소 생뚱맞아 보이지만 전보경의 작업이 인류학적이라고 이해하는 이유이다. 인류학자 팀 잉골드는 인간이 고유한 본성을 가지고 있다거나 특정 조건에 의해 인간의 삶이 구체적으로 결정된다는 관념을 반박하고, “삶은 폐쇄가 아니라 개방으로 향하고 그 앞에 놓일 수 있는 어떤 결론이든 계속해서 앞지르는 것이다. 따라서 삶을 위한 우리의 준비, 신체의 기술과 정신적 습관은 미리 만들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함께 또는 그들과 함께하는 활동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서서히 구축되는 것이다.”2라고 말한다. 즉, 인간이라는 개념과 인간의 행동은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관계 안에서의 실천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인류학자의 시선은 그 실천으로 향해 있다. 전보경이 바라보는 기계-사람과 인간 사이에서의 긴장이 바로 그 끊임없는 역학이다. 물론 계속해서 그 긴장을 유지시켜야 함을 주장하면서.


 

 

Imagine Bokyung Jun as an engineer in a lab; one of her tasks is to convert machine-man ’s repeating movement into a command and enter the order to humans to see how they conduct the command. So she sets the score, moves the choreographer, and creates videos. At first glance, this comparative experiment aims to distinguish human originality from machine-man by taking unique factors of human beings, indiscoverable in other species, as the evidence. But if we investigate her works more specifically, we can find the purpose of her experiment is a bit away from it. What she calls into question is not the conceptual category of machine-man but the technological ideology bound to the machine-man. That is, she observes the robot movement created after human labor, developed to appropriate to industrial productivity, or artificial programs introduced to AI guided to think and speak like a human. This program originates from similarities with humans and drives the similarities. The created ones look alike to us but are different. In her work A duck is a duck is a duck(2021), she contemplates the meaning of life through a more human-like machine and a more duck-like duck. Jun asks, “Do human beings create human beings because they recognize human beings?” to bring this similarity and mimicry into question. Jun watches out to be deluded by the similarity and reviews the aesthetic possibility of humans and the ontology of machine-man at the same time. But why? If her experiment aim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similarities, she is not much different from other evolutionists. Instead, what she wanted to question with these experiments was the relationship itself formed between newly appearing machine-man and human beings. What kind of neighbors are they becoming to each other? As one might put it, her experiment is more like an anthropological approach asking how machine-man and human beings create mutuality and how it should be formed.

Bokyung Jun’s critical mind goes like this; the formation of machine-man comes true, having the similarity to humans as the central axis and the existence of machine-man that performs the similarities gives feedback to the human being as a mirror image. As this loop structure repeats itself, the relationship patterns become narrowed down, and the manner of existence becomes simple. This general development is what Bokyung Jun deals with as an issue. We’ve seen her works like Zeros: Operation Error(2020), Machine Learning(Do you love me?)(2021), I Swear, I am Not a Robot(2021), and Abstract Machine(2022). In those works, her clip frames capture the error and unpredictability that were created when a human performs the movement of a machine-man. The development process is not to testify that machine-man and humans are just different. Rather, Jun tried to de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machine-man and humans, which converged into one protocol and became a congealed myth, and to provide a common ground for synthesis. Here, the existence of dancers who got trained to perform a program different from machine-man effectively practice the deconstruction because their movement is immediately recognizable as an aesthetic style. Their being and movement become spaces where each social program competes around the ‘body.’

The tension from the competition and the competition itself are essential tools Bokyung Jun us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chine-man and human beings. Because the tension is the reality of the relationship that forms the relationship itself. However, it seems more complex than the tension created by confrontation and hostility. Prove Yourself(2021) is a 2-channel video work dubbed with different narrated texts belonging to human beings and machine-man,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monitor. If a human being belongs to ‘error’, the machine belongs to ‘possibility.’ If the human being has ‘variability of interpretation,’ the machine has ‘identical input and output.’ Again, if the human being ‘expresses,’ the machine ‘produces.’ Video works contrast these conventional ideas, distinguishing between human beings and machines. But between those ideas, her work presents how they sense each other, accept each other and reflect each other. If the three principles of Korean Industrial Standards request humans to become a machine, the ‘three principles of Robot’ understand the human being as the primary order. This implies that humans and machines aren’t sorted b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ut rather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 complicatedly entangled way and, furthermore, form the concept of each other and each other’s actions. If we don’t look at the reality of this tension, we will stay in the trap of thought that humans and machines are ‘original’ and ‘copies.’ That is why Bokyung Jun mentions ‘faith’ in her work Prove Yourself and invites us to see under the conceptual illusion of superficial difference. She suggests that we should understand this problem as a creation and operation of faith.

Sonnet: From Machine to Human(2022) and Sonnet: Human to Machine(2022) are love letters that humans and machines wrote for each other in their own ways. The term ‘love’ was the artist’s own word choice, but love is valid because, in these letters, humans and machines desire each other and treat each other hospitably. Love invite worlds looks alike but totally different with full of anxiety. we should face is not discovering and catalog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ut realizing how ‘we’ are formed and how we can create that . Recent works of Bokyung Jun are contemplating and experimenting with these realities. That’s why I understand her work as anthropological. An anthropologist Timothy Ingold refutes the idea that humans are born with unique nature or that a particular condition decides their lives explicitly. Instead, he says, “It is that life is a movement not of closure but of opening, which continually overtakes any ends that might be placed before it. Thus our equipment for life, including techniques of the body and habits of the mind, is not ready-made but continually forged in the crucible of activities conducted with or alongside others.” That is, practices within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 form the concept of human being and their actions. Therefore, the viewpoint of an anthropologist goes toward that practice. Bokyung Jun stares at the tension between machine-man and human, that endless dynamic. She insists the tension must be maintained.


 


  1. 여기서 기계-사람은 살아있는 생명체의 모양, 기능, 메커니즘 등을 본 따 설계된 기술적 장치를 뜻한다. Machine-man indicates a technological tool designed upon a living creature’s shape, function, and mechanism. 

  2. 팀 잉골드 지음, 팀 잉골드의 인류학 강의, 김지윤 옮김, 프롬북스, 2020, 71쪽. Ingold, Tim. Anthropology: Why It Matters, polity, 2018. eP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