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Hanbum

Writing

해가 질 땐 공제선을 따라 걸어라

도끼와 모조머리들(인사미술공간, 2020) 도록에 수록.

 

수평이든 수직이든 완만한 곡선이든 경계선에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보다 엄밀히 말하면 불안한 일, 환영 받지 못 하는 일이다. 어느 편에 속하는지 식별되어야 하고 어느 편으로 넘어갈 것인지 결정되어야만 한다. 식별되지 않고 결정되지 않은 무언가를 못 견뎌 하는 것이 거기에는 반드시 있기 때문이다. 식별되지 않고 결정되지 않은 무언가를 못 견뎌 하는 것이 있기에 경계선이 만들어지는 건지도 모른다. 그 힘은 형태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지만, 그것 앞에 선 우리는 선택지가 별로 없다는 것을 잘 안다. 경계를 만드는 데 힘을 보태고 근처로는 얼씬거리지 않는 게 가장 속 편한 일이다. 실수로라도 근처에 다가갔다면, 얼른 뒤로 물러나라. 이미 늦었다면 오던 길은 뒤도 돌아보지 말고 힘을 다해 앞으로 달려가 선을 넘어라. 이편이든 저편이든 선택하라. 경계선에서 가능한 한 멀어져라. 당신의 무게가 경계선의 또렷함을 망가뜨리지 않게 말이다. 그러면 거기서는 가쁜 숨을 쉬지 않아도 될지 모른다. 그 외의 결정은 아마 전투를 뜻할 것이다. 경계선에 머물고, 경계선을 따라 걸으며, 계속해서 거기에 형상을 출몰시키는 것은 전투를 각오하고 있다는 것으로 읽힐 것이다. 물론 많은 경우 (거의 모든 경우) 경계선 위에서의 움직임은 아무리 큰 각오를 해봐야 하찮게 여겨질 것이다.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없는 듯 취급된다. 그래야만 가시적인 영토들은 그들만의 연결을, 관계를, 역사를, 서사를, 의미를, 현실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피부라는 경계가 자아를 가능케 하고 세계를 인식하게 하는 것처럼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투를, 어떠한 형태로든 패배를 반복해 왔던 그 전투를 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면….

온갖 고물 라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를 가판대 위에 잡다하게 늘어놓고 손님들을 맞이하던 남루한 행색의 한 백인을 만난 건 햇살이 기분 나쁘게 따갑던 어느 늦은 가을날이었다. 그곳은 소리 가게였고, 그는 중고 소리를 파는 중이었다. 중고 소리라니? 그는 외 국 인 이라는 한국어가 적힌 우스꽝스러운 모자를 쓰고 있었다. 뭐라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뭔가가 잘못 짜맞춰진 공간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겉보기엔 장사를 하는 중이었지만 교환한다는 것에는 그다지 관심 없어 보이는 분위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가판대 위에 놓여있던 물건들 중 눈에 띈 건 가정용 프린터로 인쇄해 직접 잘라 붙여 만든 작은 책자였다. 거기에는 거울 나라와 소리 사냥꾼에 대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었다. 요약하자면 이런 거다. 거울 나라와 사람 나라가 허물없이 교류하던 시절이 있었지만, 한 전쟁에서 거울 나라가 사람 나라에 패했고 사람 나라의 황제는 거울 나라 사람들을 거울 속에 가둬버렸다. 그리곤 그들에게 사람 나라 사람들이 하는 몸짓을 그대로 따라 해야만 하는 형벌을 내렸다고 한다. 거울 나라는 거울을 부수고 나와 사람 나라와 싸우기 위해 호시탐탐 칼을 갈고 있었다. 사람 나라들 사이에 그어진 국경은 마음만 먹으면 자유롭게 오갈 수 있었지만 결코 거울 나라로 들어갈 수 없었던 이야기의 주인공은 소리를 추적하기 시작한다. 이미 사람 나라에 잠입해있을지 모르는 거울 나라 음향부대원들의 흔적, 사람 나라에는 없고 오직 거울 나라만의 소리를 말이다. 소리를 찾아 나갈수록 주인공은 정체성에 혼란을 겪는다. 자신이 거울 나라로 넘어가기 위해 소리를 찾는 사람 나라의 사람인지, 거울 나라로 돌아가려는 거울 나라 사람인지 헛갈리게 된 것이다. 소리를 사냥할수록 내부자라 믿었던 자신이 외부자가 되어감을, 외부자로서의 내부자 됨을 느낀다. 그렇게 그는 이편도 저편도 아닌 합성된 현실을 마주하며 끊임없이 소리를 찾아 떠돌아다니게 된다.

선 자리에서 이야기를 다 읽어버린 나는 주인장에게 책을 얼마에 파냐고 물었다. 그는 씨익 웃으면서 선물이라고 말하며 내게 책을 주었다. 한국어가 유창했다. 이후 오랫동안 소리 사냥꾼의 이야기를 곱씹어보며 나는 몇 가지 사실을 이해하게 됐다. 하나는 필드 레코디스트(혹은 다큐멘터리스트)라고 하는 이들이 경계선 위에서 전투를 벌이고 있는 군인들일 수도 있겠다는 것, 다른 하나는 경계선 위에서의 가장 은밀한 전투는 합성이라는 무기를 손에 쥐고 이루어진다는 것. 그들은 이편의 것도 저편의 것도 아닌 현실을 생산하면서 움직인다. 그 현실은 적군인가? 아군인가? 무엇도 아니다. 새로운 것도 아니다. 그저 보이지 않던 현실일 뿐이다. 그리고 이건 지금으로선 가설일 뿐이지만, 경계선은 부서지는 것이 아니라 바로 그 합성적 현실이 생성될 수 있는 조건인 것은 아닐까 생각했다. 이 가설이 증명해야 할 것은 합성적 현실이 어떤 현실이냐 보다는 그것을 현실화한 운동의 방식을 밝히는 것이다.

이후 나는 온갖 합성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합성을 수행하는 존재들을 추적했다. 최초의 발견은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를 바라보는 이들을 통해서였다. 그들은 프레임과 프레임의 연결을 의심했고 그 연결의 음모라고 할 수 있는 현실 효과에 문제를 제기하기 위해 사이 공간을 비집고 들어갔다. 그들의 전투는 바로 그 사이 공간에서 이루어졌다. 네트워크와 리듬을 간파하고 치열하게 재생산하려 했다. 믿음이 임의적이며 허위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사이 공간에 미시적인 순차(sequence)를 외삽했다. 소설가 행세를 하는 몇몇 치밀한 시인들은 엉뚱한 곳에 황당한 여담을 늘어놓기도 했고 영화 작가라 불렸던 몇몇 화학자들은 필름들을 겹치고 녹여 뒤섞기도 했다. 그런 수다한 이미지와 이야기는 사이 공간에 떡하니 자리를 차지하고 우리의 시간을 한없이 빼앗는다. 그래, 그것은 어쩌면 시간을 내건 전쟁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전투의 흔적은 그 격렬함을 상상하게 하지만 여전히 그것에 대해서는 모두가 침묵한다. 기억상실증이라도 걸린 것처럼.

최근 나는 한 사이 공간에서 작은 나선 운동이 일어나는 것을 보았다. 처음에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원 운동처럼 보였지만, 꼬리가 꼬리를 무는 곳에서 아주 미묘한 어긋남이라고 할 것이 발견되었다. 운동이 반복될수록 어긋남은 커져갔고, 마침내 어긋난 곳에서 이야기와 형태들이 생겨났다. 꼬리 물기는 비록 몸의 일부를 떼어 주는 일이기는 했으나 결국 저마다의 이야기와 형태로 드러난 것이다. 이야기와 형태의 저자는 꼬리를 무는 운동성의 설계자들이기도 했다. 누군가에게는 이야기의 흥미로움과 형태의 아름다움이 중요할 수 있겠지만, 점점 더 내게 선명해진 것은 사이 공간을 위한 설계자들의 합성적 건축이었다.

여기서 나는 전투에 대한 다른 한 사실을 더 이해하게 됐다. 그것은 합성이 이미 아는 것의 상실을 감수하는 것이며 상실을 감수하며 순차를 만드는 일이라는 것이다. 상실을 감수할 것, 순차를 만들 것. 이 두 요구가 경계선 위의 전투를 위한 강령일지도 모른다. 상실을 감수하는 순차는 달리 말하자면 이미 있는 것과는 다른 속도와 방향의 운동을 추동하는 일이다. 거기서 어떤 이미지가, 어떤 사물이, 어떤 움직임이, 어떤 영토가 출몰할지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을 것이지만, 그 이미지, 사물, 움직임, 영토를 인식 가능하게 한 것이 합성이 추동한 진동임을 기억해야 한다. 바로 그 진동이 만들어내는 예측 불가능성만이 합성적 현실이 경계선의 시간을 차지할 수 있는 전술이다.

경계선은 전선이다. 합성은 경계선에서의 전투술이다.


 

 

Whether line is horizontal, vertical, or has a gentle curve, it is dangerous when something is at a boundary. More precisely, it is uneasy, something that is unwelcome. It must be identified what side it belongs to and determined which side it will move on because something that cannot withstand something that is not identified and determined is certainly there. Or else, a boundary may be made due to something that cannot withstand something that is not identified and determined. The power may or may not be in form, but in front of it, we know very well that there are not many options. It is comfortable to help create boundaries and not get close to them. If being near due to a mistake, step back quickly. If it’s too late, do not look back and run forward with everything you have to cross the line. Choose this side or that side. Keep as far away from the boundary as possible. This is so that the weight of you does not ruin the clarity of the boundary. Then, you may not have to be breathless there. All the other decisions would probably mean combat. Staying at the boundary, walking along the boundary, and continuing to make the appearance of the figure will certainly be read as preparing for combat. Of course, in many cases (or in almost all cases), movement on the boundary will be considered insignificant no matter how determined. Despite its existence, it is treated as if it is unrecognizable. Only then can visible territories create their own connections, relationships, history, narrative, meaning, and reality. It is just as the boundary of the skin enabling subject and to perceive the world. Even so, if you think that you have to fight that has been repeatedly defeated in any kind of form….

On a late autumn day when the sun was burning so bad, I met a shabby white man who was greeting customers with all kinds of junk radio and cassette players on the stand. That place was a sound shop, and the man was selling used sounds. Used sounds? He was wearing a funny hat with the Korean word “외 국 인,” means foreigner. It is hard to explain, but something seemed to be wrong with that place. Even he was selling things, but it was probably because of the atmosphere of having no interest in exchange. One of the items on the stand that stood out was a small booklet printed by home printer and cut and pasted by himself. The small booklet was a story about the Mirror Land and the Sound Hunter. To summarize the story, there was a time when the Mirror Land and the People Land made interaction with each other, but after a war, the Mirror Land was defeated by the People Land and the king of the People Land confined the Mirror Land people inside a mirror. The Mirror Land people were punished that had to follow the gestures of the people Land. The people of the Mirror Land sharpened their swords to break out of the mirror and fight against the People Land. The border drawn between the People Lands was free to come and go, but the main character of the story, who could never enter the Mirror Land, starts to track the sound- to search for traces of the sonic army of the Mirror Land, who may already be hiding in the People Land and track the sound of the Mirror Land which cannot be found in People Land. As the main character continues to search for the sound, he becomes confused with his identity, whether he is a person of the People Land to find the sound to go to the Mirror Land, or whether he is a person of the Mirror Land trying to go back to the Mirror Land. As he hunts for the sound, he feels more like an outsider rather than an insider or sometimes feels that he is an insider as an outsider. Like that, he constantly wanders around in search of sound, facing a synthetic reality that is neither one side nor the other.

I read the whole story while standing and asked him how much this book is. He smiled and said that he would give it to me as a gift. He was quite good at speaking Korean. For a long time, I thought about the story of the sound hunter and came to realize a few things. First, field recordists (or documentarists) may be soldiers fighting on the boundary. Second, while the most covert combat on the boundary takes place with the synthesis as a weapon. They only move by producing a reality that is neither this side nor that side. Is reality the enemy? Or the allies? Neither. It is nothing new. It is just an invisible reality. And this is only a hypothesis as of now; I came to think that the boundary line does not break but rather may be the place where synthetic reality can be produced. The thing that this hypothesis has to prove is the way of movement realizing the reality rather than to question what synthetic reality is.

Since then, I have found interest in all kinds of synthesis as a methods and traced the people performing the synthesis. The initial discovery was through whom looking between frames. They had doubts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frames and squeez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m to pose a problem with the real-word effect, which can be called the conspiracy of the connection. Their combat occurred in that space. They have been trying to find the secret of networks and rhythms and to reproduce them. To prove the belief is arbitrary and artificial, a microscopic sequence was extrapolated into space in between. Some poets posing as novelists put digression in the wrong place and some chemists who called themselves film maker overlapped, mixed, and distorted films. Such garrulous images and stories occupy the inbetween the space and take away our time endlessly. Yes, it may have been a war to own the time. The traces of the combat make us imagine how it was intense, but no one remember about it.

Recently, I saw a small spiral occurring in the inbetween space. First, it looked like some circular movement happening one after another, but there was a very subtle deviation found in the node. As the movement repeated, the deviation grew, and finally, a story and form were created in the node. Although a tail biting was taking off a part of the body, eventually, it was revealed as its own story and form. The author of the story and form was also the engineer of movement. Some people may think the interest of the story and the beauty of the form is important, but the engineer’s synthetic architecture for the inbetween space became more and more memorable to me.

I’ve realized another fact about combat, that synthesis bears loss of already we know and creates a sequential order by bearing the loss. Bearing the loss and making a sequential order, these two requirements may be the doctrine for combat on a boundary. A sequential order that bears loss is, in other words, is driving the motion of speed and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already have been existed. Nobody can predict which images, things, movements, and territories may appear there, but one must remember that what enabled the recognition of the images, things, movements, and territories is vibration driven by synthesis. Unpredictability created by the vibration is the only tactic for a synthetic reality to occupy time in a boundary.

A boundary is a front line. Synthesis is the tactic on a bound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