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Hanbum

Writing

갈 수 없는 땅

서울시립미술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작성되어 난지 아카이브 웹진에 수록.

 

“여간해선 포획되지 않는 대상을 고찰하고자 할 때 쓰레기만큼 적합한 대상도 없을 것이다.”
브라이언 딜, 쓰레기 중에서

“가장자리 따위는 없는 둥근 지구의 어디에도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에덴동산은 없다. 멀리까지 탐험해 상상 속 괴물들을 지도 밖으로 쫓아냈지만, 대신 스스로 괴물로 변해버린 인간들이 있을 뿐이다.”
유디트 샬란스키, 머나먼 섬들의 지도 중에서

 

사월의 어느 날, 나는 부서진 콘크리트 계단을 내려가 높은 단층절벽을 등진 긴 해변을 걸었다. 해가 뜨기 전이었고 모래와 자갈이 섞인 땅은 검었다. 그곳은 어느 지도에도 지명이 나오지 않았고 표지판도 없었으며 오래 살아온 마을 주민에게 물어도 보았으나 그도 그곳의 이름을 몰랐다. 정확하게는 “거기는 이름이 없지”라고 그는 말했다. 이름 없는 해변에는 조약돌처럼 둥글게 마모된 유리 파편과 은색 단추, 고무 타이어의 부스러기, 이마트 비닐 봉투, 굵은 밧줄 꾸러미, 초록색 그물 뭉치, 떨어져 나온 스티로폼, 철제 책상 다리, 화투장 같은 것들이 너부러지듯 웅크리듯 놓여 있었다. 오랜 동안 사람은 나타나지 않았다. 파도가 오간 흔적만 남은 정갈하고 완만한 언덕에는 검은색 야구 모자가 뒤집어져 속을 내밀고 축축한 모래와 함께 뒤엉켜 있었는데, 여섯 개의 패널을 이어 붙인 봉제선을 따라 “FEEL THE JOY”라는 문구가 여섯 방향으로 뻗어 나가 있었다. 세속적 욕망을 요구하는 경쾌한 목소리를 들어줄 이는 여기에 아무도 없었다. 내가 이름 없는 해변에 닿게 된 이유와 온갖 물건들이 거기에 오게 된 이유는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다. 나는 모자를 내려다보며 한참을 서 있다가, 걸어왔던 발자국을 따라 해변을 되돌아 나갔고, 섬을 떠나 도시로 돌아왔고, 해변에서 주워 온 크기가 다른 매끈한 돌 다섯 개를 선반에 올려 두었다.

사람은 저마다의 장소를 걷는다. 저마다의 걷는 장소를 가지고 있다. 그중 어떤 이들은 자신이 걷는 장소를 통해, 그 장소를 걷는 것을 통해 진실을 찾는다. 레이첼 카슨과 쥘 미슐레는 땅과 바다의 경계를 걸으며 바다를 이해했다. 다만 그들은 서로 다른 바다를 가졌는데, 카슨은 바다에서 끊임없는 죽음의 순환과 생명의 이동을 보았고 미슐레는 역사를 보았다. 로렌 아이슬리와 허수경은 모래와 바람만이 가득한, 사막이라고 하는 현재의 외부를 걸었다. 박솔뫼는 오래된 도심을 걷고 류한길은 꺼끌꺼끌한 소리의 진동을 타고 걷는다. 이런 사람들에게 어떤 장소를 걷는다는 것은 일종의 방법이다. 강고한 물질과 이미지가 허튼 짓 딴 생각 못하게 우리를 틀어막는 힘을 약화하고 그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 실재를 발견하는 방법. 픽션은 거기서 시작한다.

정지현이 나를 차에 태워 데려간 곳은 성동구 송정동의 폐기물 집하장이었다. 그는 언젠가 그곳이 얼마나 재미있는 곳인지 내게 말한 적이 있었고, 왠지 모르겠지만 나도 단번에 가고 싶은 마음이 동했다. 지형지물과 지명이 빼곡히 들어 찬 서울 지도에서 송정동은 외딴 섬처럼 텅 비어 있었다. 지도라는 이미지에서 이런 식으로 표현된 곳은 군부대 같은 기밀 유지가 필요한 구역이나 길 없는 숲 정도일 것이다. 들어가지 못하는 땅이거나 이미지화 할 수 없는 규칙이 지배하는 땅. 송정동에는 쓰레기를 끊임없이 운반하는 컨베이어 벨트 소리와 무지막지하게 움켜쥐고 퍼 나르는 중장비 소리의 리듬이 가득했고 종종 작은 새들이 우는 소리가 들렸다. 그 소란스러움에서 조금 비껴난 곳에는 온갖 잡다한 재활용 쓰레기가 종류별로 분류되어 있었다. 고철은 고철대로, 알루미늄은 알루미늄대로, 종이는 종이대로. 한때는 위용이 대단했을 대형 트럭의 녹 쓴 차체 프레임과 포크레인의 손은 산처럼 쌓여 있었다. 우리는 송정동을 가로질러 걸으며, 이곳이 비록 도심 한복판의 땅이긴 하지만 마치 모든 물건들이 파도에 떠 밀려 온 것 같다는 말을 나누었다. 물건들은 어떤 높이와 어떤 속도의 파도에 실려와 저마다의 정해진 자리에 안착한 것처럼 보였고, 그렇게 비슷한 질량을 가진 것들이 한곳에 덩어리져 모여 있었다. 우리는 그 파도라 이를 수 있을 것의 정체가 뭘까 궁금해 하긴 했지만 이야깃거리로 삼지는 않았다. 그것에 대해선 딱히 지금 할 수 있는 말이 없다는 것을, 그저 각자의 방식으로 추측해야 할 일일 뿐임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다만 정지현은 송정동을 떠나기 전 한 고물상 아저씨에게서 고철 한 덩어리를 얻어왔다. 1톤 트럭의 앞쪽 차체 프레임 같아 보였는데, 그 형태는 이미 어떤 조형성을 갖추고 있었다.

송정동을 떠나 우리가 향한 곳은 난지도 노을공원이었다. 그야말로 쓰레기 투어였다. 그러나 해질 녘의 노을 공원은 말이 안 된다 싶을 정도로 아름다웠다. 발아래의 땅이 쓰레기로 만들어진 인공 산이라는 것은 그다지 실감나지 않는 사실이었다. 지도 이미지가 송정동을 지웠다면, 노을공원의 아름다움은 난지도를 지웠다. 노을공원에 오르기 전 정지현은 스튜디오에서 울룩불룩 요철 진 큰 철망을 내게 건네며 뭐가 보이는지 물었다. 뭘 본 뜬 것인지는 작가만 알 것이었기에 나는 성의 없이 아무 말로 대답했다. 사실 ‘무엇’이 무엇인지에는 딱히 관심이 없었고 요철이 묘하게 흥미로운 모양새라고 생각하는 와중이었다. 노을공원에 오르자 여러 공공미술 조각상들이 서 있었는데, 정지현은 그 중 하나를 가리키며 철망으로 본 뜬 것이 바로 저것이라고 말했다. 정지현은 몇 년 전 한동안 도심 속에서 이상한 곳에 자리 잡고 서 있는 조각상들을 찾아 다녔었다. 종로 대로변 영풍문고 앞에 생뚱맞게 앉아 있는 전봉준 동상 같은 것들을 말이다. 그리고 그런 조각상의 일부 혹은 전체를 본떠서 조각화 하곤 했다. 그가 본 뜬 것은 조각상의 표면이었지만, 내게 그것은 어떤 물건이 알 수 없는 이유로 어딘가에 놓여 있게 된 그 미스터리 자체를 떠내는 것으로 보였다. 그것은 이미 어떤 형태를 가지고 있었고, 그럼으로써 장소와 물건 사이의 총체성을 다시 구성하고 조각이 관여하는 특권적인 사물을 회복했다. 내게 그것은 이름이 없어야 할 사물에 잘못 붙은 이름을 제거하는 일처럼 보이기도 했고, 그것을 장소 없는 상태로 되돌리려는 일처럼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건 나의 해석적 견해이지 정지현의 의지는 아닐 것이다. 그는 예민하고 섬세하게 살피는 것으로 사물에 관여하지 사물의 정치를 논하지는 않는다. 정지현은 클라이밍에 심취해 있는데, 홀더의 형태와 홀더가 붙은 벽의 경사에 따라 자세를 바꾸고 이동하는 것에 꽤나 능숙해 보였다. 클라이밍은 길을 찾는 스포츠다.

그는 얼마 전 내게 3D로 모델링한 땅 이미지 하나를 보내주었다. 미디어에 보도된 북한 어딘가의 지형이라고 했다. 얼마 후 스튜디오를 다시 찾았을 때 3D 프린터를 이용해 제작한 땅 샘플을 볼 수 있었다. 도색이 되어 있으니 제법 땅 같아 보이기는 했다. 그 즈음 우리는 갈 수 없는 땅과 조각의 관계에 대해서 한창 얘기를 나누었다. 갈 수 없는 땅이 뭔지는 모호했지만, 적어도 어떤 새로운 기술처럼 보이는 것이 이미지로든 물질로든 그곳을 지금 여기로 데려올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았다. 만약 갈 수 없는 땅이 지도에서 추방당한 허구라면, 오히려 그곳은 이미지와 물질의 불가능성에서 출발해야만 다다를 수 있는 영토일 것이다. 정지현은 그런 허구를 증언하는, 혹은 추측하게 하는 이유 있는 물건들을 찾아 온갖 것들이 밀려 나가 이름을 잃기 시작하는 경계선을 걷는다. 그의 조각이라 이를 수 있는 것은 거기서부터 시작한다. 네모 반듯한 모양에 요철 진, 땅이라고 이를만한 그 얇고 가벼운 플라스틱 판은 의자 위에 이런저런 생활 잡품과 함께 아무렇게나 놓여 있었다.


 

 

There would be nothing more appropriate than waste when contemplating something that is not easily seized.
Brian Thill, Waste

There is no untouched garden of Eden lying at the edges of this never-ending globe. Instead, Human beings travelling far and wide have turned into the very monsters they chased off the maps.
Judith Schalansky, Atlas of Remote Islands

One day in April I walked down the damaged concrete stairs by the long seashore beyond high fault scarps. It was before sunrise, when the ground mixed with sand and pebbles looked dark. The name of the place was not found in a map, nor its signs, and even an old villager did not know what it was called. In fact, he said: “That place doesn’t have a name.” By the nameless beach, objects were scattered, such as round glass fragments worn away like pebbles, silver buttons, small pieces of rubber tire, plastic bag, bundles of thick ropes and green net, styrofoam, steel desk leg, or gambling cards. There was no sign of a man for a long time. On the gentle, smooth slope, with only sea wave traces, a black baseball cap was laid inside out, half-covered by wet sand, with a phrase “FEEL THE JOY” stretching out in six ways by the seams between six panels of fabric. There was no one to listen to this lively voice of secular desire. I believed the reason why I ended up at this nameless beach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bjects themselves. Standing there for a while looking down at the baseball cap, I followed back my footprints on the beach, left the island for the city, and put five smooth pebbles from the beach on my shelf, all different in sizes.

People walk in their own places. They have their own places to walk. Some of them discover the truth through the places they walk upon. Rachel Carson and Jules Michelet understand an ocean by walking on the border between land and ocean. Yet their oceans are not the same. What Carson sees in the ocean is a never-ending cycle of death and movement of life, while Michelet sees history. Loren Eiseley and Sukyung Heo walk the outside of present time in the desert, with nothing but sand and wind. Solmay Park walks in the old downtown, and Hankil Ryu walks upon the rough vibration of sound. For people like them, walking in a space is a kind of method. It is a method for neutralizing the power of strong matter and images that suppress us from enjoying random thoughts and discovering underlying reality. This is where fiction begins.

Where Jihyun Jung drove me was a waste transfer station at Songjeong-dong, Seongdong-gu. He once told me how fascinating the site was and somehow I immediately felt like visiting. Songjeong-dong was left blank like a lonely island in the map of Seoul, which is mostly crowded with landmarks and names. If some spot is left blank like this on a map, there must be a restricted area like a military camp or a forest with no way in. An area that is restricted or dominated by rules that cannot be expressed in an image. Songjeong-dong was crowded with the rhythmical sound of conveyor belts endlessly delivering waste and heavy vehicles that outrageously crush and shovel, while tiny birds occasionally chirped. A little off of that busy mess, all kinds of recyclable waste materials were sorted. Metal, aluminum, paper, and so on. Once glorious and colossal in the past, the rust frame of heavy trucks and excavator arms were piled up into a mountain. Walking across Songjeong-dong we talked about how the waste looked like it was washed up by sea waves, although the area was in the middle of the city. Objects seemed to be carried away by the waves of certain height and speed, settling in their own destined spot because each heap of objects had similar masses. We were curious what the wave could be but did not further the discussion. There was nothing particular to talk about and we both only could speculate it in our own distinctive and separate way. Jihyun Jung got a piece of scrap metal from a junk shop before leaving Songjeong-dong. It seemed like the front frame of a truck of which the shape already conceived some sculptural form.

After Songjeong-dong, we headed to Noeul Park at Nanjido. It was literally a waste tour. However, Noeul Park at dusk was perfectly beautiful. I could hardly recognize that it was a man-made mountain of waste beneath my feet. If it was a map that erased Songjeong-dong, it was the beauty that erased Nanjido. Before walking up Noeul Park, Jung handed me a huge, bumpy wire mesh at the studio and asked what I saw in it. Since only the artist would know what it was modeled after, I gave an answer without much enthusiasm. Actually, I was thinking that its unevenness looked peculiarly interesting, instead of ‘what it was’ in particular. Climbing Noeul Park we saw a number of public sculptures and Jung pointed one out saying his wire mesh was modeled after it. For the last few years Jihyun Jung has been searching for sculptures in strange spots in the city, for example the statue of Jeon Bong Jun, sitting awkwardly in front of Youngpoong Bookstore by the main street in Jongno. Jihyun Jung made sculptures that modeled a part or the entire structure of these. Jung was capturing the surface of the sculpture, but, to me, it appeared to be presenting the mystery of how some objects end up where they are. It already had a certain form, which configured the totality in between the place and object and restored the privileged thing involved by the sculpture. To me, the practice seemed to be eliminating the names of the thing that should not have names or restoring them to the state of a non-place. However, this is my interpretive view, not his. He engages with a thing by treating it sensitively and delicately, rather than discussing its politics. Jihyun Jung has been infatuated with climbing and seemed to be very skilled at shifting his position and moving around depending on the hold’s shape and where it was spiked on. Climbing is a sport that finds a way out.

Few days ago he sent me a 3D modeling image of land. Supposedly it was a landform somewhere in North Korea that was reported by the media. When I visited his studio later he had a sample of the landform made with a 3D printer. It did quite look like a piece of land made after a painting. That was about the peak of our discussion regarding the relation of unapproachable land and sculpture. Unapproachable land sounds ambiguous, and no new technology seems to be able to bring it right away into an image or matter. If unapproachable land signifies a fiction that has been expelled from a map, it should be only grasped through the impossibility of image and matter. Jihyun Jung walks on the border where all objects are washed away and lose their names, seeking reasonable objects that witness or facilitate forms of speculation of such fictions. That is where his sculpture begins. Bumpy and uneven in a square shape, the plastic panel standing in for a plot of land was laid out randomly with other living items on a ch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