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Hanbum

Writing

몸과 몸의 구분을 지우고: 하민지의 회화에 대하여

젊은 시각 새로운 시선 2020 낯선 곳에 선(2020, 부산시립미술관) 전시 도록에 수록

 

거대한 캔버스에는 공장식 기계가 서늘하게 자리 잡고 있고, 무어라 형언하기 힘든 형태로 살덩어리들이 뒤얽혀 있다. 덩어리는 의지를 가진 듯 기계를 중지시키고 뻗어 나간다. 이 풍경은 어떤 대상에 대한 재현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상상도처럼 보이고, 이 순간의 장면을 가능하게 하는 기나긴 이야기가 숨어 있는 것만 같았다. 작가의 작업실에서 아직 완성되지 않은 그림의 여백을 보며 과연 이 살의 덩어리들이 어떤 움직임으로 자라날지 궁금했다. 그리고 의미를 규정하고 싶은 충동보다는 과연 이 캔버스 화면 안에 어떤 상상이 자리 잡고 있는지, 어떤 이야기들을 품고 있는지 묻고 싶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 상상과 이야기를 환기시키는 작가의 회화 언어를 검토해보는 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나는 하민지가 작가로서 또 이 세계 안의 한 삶의 주체로서 관심을 두고 지켜봐 온 현실의 풍경과 그것을 다루는 회화의 언어를 연관시켜보고자 그의 지난 작업들을 경유하여 질문을 던졌다. 여하간 관객은 눈앞에 놓인 물질의 체계를 경험하는 것이고, 바로 그 조형을 통해 작가가 제안하는 윤리가 구축된다. 이 짧은 대화가 작가의 작업의 총체에 접근하는 안내자의 역할이 되기를 바란다.

 

이한범 당신의 주된 작업의 주제는 동물의 살(flesh)입니다. 이러한 주제, 혹은 대상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구제역 파동 당시 살처분 되는 동물의 모습이 미디어를 통해 이미지로 송출되는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시 무엇을 보고 들었으며 어떤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 작업의 계기에 대해서 회고해 주실 수 있을까요?

하민지 2010년부터 2011년 한국에서 구제역이 확산되면서 가축들이 대량 살처분되는 장면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때 동물들이 산채로 매몰되는 모습은 실제상황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잔인한 장면이었습니다. 동물들이 살아 서로 뒤엉키면서 외쳤던 울음소리는 지금 사진만 봐도 들리는 것 같습니다. 그 충격으로 저 자신이 무너지는 경험을 하였고, 이런 동물의 집단적인 죽음이 단지 비인간으로서 동물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집단적 죽음과 멀지 않을 거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인간과 동물의 구분이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저는 이러한 구분은 인간이 동물보다 우월적인 존재라는 것을 강조하면서 가능했던 것이라고 보고,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경계를 지우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고민과 함께 동물들이 살처분되는 장면이 떠올랐습니다. 돼지를 생명으로 보지 않고 쓸모없어진 어떤 덩어리들로 취급하며 내 던지고 생매장하는 모습에서 저는 주름만 남은 뒤섞인 몸들을 보았습니다. 그 주름은 하나의 형태로 규정할 수 없었고, 서로가 연결되어 마주치면서 새로운 모습으로 생성되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러한 주름이 현재의 지배적 상태와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게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동물들의 죽음으로써 일깨워준 이 주름들은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해왔던 인간의 시각으로 본 동물의 모습을 해체할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입니다. 동물과 인간을 구분하지 않고 식별 불가능한 상태로 서로 비틀리고 뒤섞여 제 작업에 생성되기 시작했습니다.

이한범 말씀하신 것처럼, 당신의 지난 회화 작업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몸의 ‘주름’입니다. 주름은 폐기된 몸을 표상함과 동시에 회화적 평면 위에서 몸을 뒤섞어 경계 없는 덩어리로 드러내기에 유효한 형태처럼 보입니다. 주름이 당신의 회화에서 중요한 양식으로 자리 잡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하민지 저는 동물을 그린다는 것에 대해 많이 고민했습니다. 실제로 동물을 그릴 수 있을까? 똑같이 재현한다고 해서 그것이 동물을 그렸다고 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들이었습니다. 그러한 고민을 하고 있을 때 동물들의 죽음에서 형상이 붕괴되는 모습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동물 이미지가 형상을 중심으로 재현되는 것에서 벗어나는 방식으로 주름을 다루게 되었습니다.

이한범 당신의 작업이 다루는 사건, 즉 인간이 동물을 학살하는 것을 지켜본 시간은 우리 모두의 공동의 경험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각자의 방식으로 이에 반응하고, 대응합니다. 혹은 외면하고 침묵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외부의 사건을 사적인 경험으로 수렴시키는 것과, 이를 작업의 대상으로서 다루는 것에는 전혀 다른 호흡과 과정이 필요할 것입니다. 2012년부터 10여 년 동안 한 주제를 탐구하며 이것이 작업으로 구현되어온 과정들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특히 당신은 화가이고, 주된 예술 매체로서 회화를 다룹니다. 캔버스라는 평면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당신의 회화적 언어를 찾아 나간 과정이 궁금합니다. 예컨대 가장 초기의 도축과정 7(2012)이 육류 공장의 그로테스크한 풍경을 재현한 것에 가까웠다면, 돼지골(2014)에서는 마치 동양화의 산수화적 형식으로 형상을 쌓아 나갑니다.

하민지 인간이 동물을 소비하는 방식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처음에 동물이 살아가는 사육시설과 도축 과정을 찾아보게 되었고, 그 과정 안에서 동물들은 생명체이기보다는 상품으로 취급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살아가는 모습과 고기로 만들어지는 과정은 밀폐된 어둠 속에 갇혀 드러나지 않고, 상품으로서만 우리에게 보여 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고기로 만들어지는 도축 과정과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마블링, 산채로 벗겨지는 동물들의 가죽 등의 이미지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런 표현은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드러내기에는 부족하다고 느꼈습니다. 이런 고민을 하는 시기에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와 같은 동물과 관련한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하였습니다. 가축전염병의 유일한 대책인 살처분은 동물들의 죽음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고, 저는 이러한 죽음이 인간에게 일어나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인간이 인간적인 삶을 유지하기 위해 구분 지었던 경계를 지우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구제역 당시 묻혔던 땅 속 겹겹이 쌓여있는 몸들이 뻗어 나오면서 하나의 형태로 특정지어지지 않으면서 생성되고 서로 비틀리고 뒤섞여 있어야 할 자리가 아닌 기괴한 움직임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이한범 시리즈(2014)는 주름에 대한 관심이 보다 더 집중적으로 드러난 작업입니다. 여기서는 동물의 형상이 아닌 인간의 몸이 등장합니다. 과도하게 표현된 주름은 인간의 몸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힘으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예컨대 다른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피부의 안쪽’ 즉 감춰진 영역을 뒤집어 내어 보여 주게 합니다. 여기서 주름에 대한 당신의 입장을 조금 읽을 수 있습니다. 인간 신체의 형태를 무너뜨리는 주름은 당신에게 해방적인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인가요?

하민지 동물과 인간의 경계를 지우는 작업에서 동물과 인간은 구분 없이 뒤섞여 있었습니다. 그러는 과정에서 인간의 몸에 집중해서 작업을 풀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동물들의 죽음의 현장에 나타난 인간의 노동환경도 다르지 않다는 것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인간도 가차 없이 버려지는 동물들의 상황과 마찬가지로 죽음으로 내몰리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인간의 신체 또한 주름으로 표현하며 몸의 고정된 기능을 흩트리고 신체를 쓰는 새로운 방법을 찾는 것을 상상해보았습니다. 저는 이런 고정된 기능에서 벗어난다는 점에서 해방적인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동등한 가능성이라기보다는 각자 나름의 다양한 가능성으로 해체와 재구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한범 주름을 형태에 대한 문제로 이어 다뤄보고 싶습니다. 저는 당신의 회회가 형태를 무너뜨리고 형태를 재생산하는 방법으로 이해됩니다. 즉 세계의 비윤리성, 현실의 재난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회화라고 했을 때, 그것은 주로 몸의 형태를 과도하게 변형시키는 것으로서 가능하게 됩니다. 주름이란 것은 바로 이 형태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운동성으로서 발견된 것처럼 보이구요. 저는 당신이 캔버스 안의 공간에서 형태를 어디까지 무너뜨리려고 했는지, 그 무너뜨림을 어디서 멈추게 되었는지, 그리고 무너뜨린 다음 드러난 것은 무엇인지 묻고 싶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해 보이는 것은 형태의 무너짐이 추상으로 나아가지 않고 기이한 물질성이 구현된 세계, 오히려 리얼리티의 강조처럼 보인다는 것입니다.

하민지 형태를 과도하게 무너뜨리지 않고도 주름이라는 방식 자체가 자연스럽게 그 무엇도 확실하게 식별하도록 만들지 않습니다. 그래서 동물과 같은 형상, 인간과 같은 형상이 확실히 지워지지 않은 모습으로 등장하기도 하지만 모두가 서로 만나지면서 다른 움직임으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저는 형상의 경계(틀)를 없애는 것에 집중했고, 그것들이 흘러내리거나 뻗어 나가며 어딘가에 녹아들지 않기 위한 저항의 움직임들을 만들어내려고 하였습니다. 이렇게 계속해서 생성되고 있고 서로 비틀리고 뒤섞여서 있어야 할 자리가 아닌 기괴한 움직임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입니다.

이한범 obstacle course(2019)과 같은 작업에서는 주름은 사라지고 살의 덩어리들이 등장했습니다. 그리고 공장식 도축 기계가 등장했지요.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 대해서 듣고 싶습니다.

하민지 obstacle course에 등장하는 기계는 공장식 도축 기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계들의 중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도축 기계 이미지들보다는 ‘기계’라는 포괄적인 이미지들을 모두 사용하였습니다. 이러한 기계 이미지들이 등장한 이유는 인간이 기계로 규격화된 세계를 열었고 그것을 생명에게 적용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계가 제 작업에 필연적으로 등장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기계는 작은 부품들이 연결되어 완벽한 세계를 이루고 있는 것처럼 보였지만 주름처럼 제 몸을 완벽하게 섞어낼 수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움직임을 통해 다른 작동하게 만들어 보려고 하였습니다. 참고로 이번 부산시립미술관에서 선보이는 작업에서는 도축기계들만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한범 살의 덩어리와 기계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을 듣고 싶습니다. 살의 덩어리들이 기계를 중단시키는 연대의 행위를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는데요. 기계는 단호하게 절차적이지만 덩어리는 이미 서로간의 경계를 구분할 수도 나뉘지도 않는 비정형의 형상이고 단일하지 않은 주체로 읽힙니다.

하민지 이전 작업에서는 동물과 인간의 경계를 지우는 방식으로 주름을 표현했다면, 무한히 증식되거나 새로운 모습으로 생성되는 성질을 가진 주름을 기계와 연결하면서 규격화된 시스템의 기능들 배치를 변경하고자 하였습니다. 결합하여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며 기존의 시스템을 교란하게 시키기도 하고 기계들을 연장하기도 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주름들에 의해 기계들의 정해진 기능이 저지당하고, 기계의 도움으로 부풀려지거나 터지기도 하는 다양한 움직임들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이한범 의식을 가지고 기계 문명에 저항하며 이를 과격하게 중단시키는 생명체, 자기 세계의 규칙을 스스로 찾아가려는 비인간이라는 모티브는 종종 공상과학 애니메이션에서 즐겨 사용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영향을 받거나 참고한 작업 혹은 세계관이 있나요?

하민지 자연스럽게 영향을 받았을지는 몰라도 정확하게 떠올려 참고한 작업이 없습니다. 사람들에게 작업을 보여주고 나서 관련된 작업을 소개받기도 하고 공상과학 애니메이션을 찾아보기도 했습니다. 모두 다 본 것은 아니지만, 동물을 인간 지각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재현하는 것이 아닌 해체 되어 다른 방식으로 존재하는 모습을 상상한다는 점에서 비슷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고 느꼈습니다.

이한범 기계는 등장하지만 기계를 생산하고 조작하는 인간의 모습은 보이지 않습니다. 기계가 인간을 대리하고 있는 것일까요? 기계와 덩어리의 대립구도 안에서 인간은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설정되는지 궁금합니다.

하민지 네 맞습니다. 입력된 동작만 하도록 만들어진 기계들은 오로지 규격화된 결과물들만 생산해 내는 구조로 인간을 대신해 잔인한 행위를 반복하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은 동물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적용된다고 생각해서 동물과 인간 구분 없이 덩어리로 나타나고 있는 것입니다.

이한범 색의 사용에 대해서 묻고 싶습니다. 덩어리를 이루는 부분들의 색이 상당히 밝고 선명합니다. 다채로움에 경쾌하다고까지 할 수 있는데요, 이는 저에게 일견 기계의 기능을 멈추고 구분을 철폐하는 비정형의 형태가 제안하는 급진성과는 모순된 것처럼 여겨지기도 합니다. 어떻게 이러한 형태가 이러한 색을 가질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이 자연스럽게 생겨납니다.

하민지 살의 덩어리라고 말씀해주셨는데 그렇게 보이듯이 살아있는 살에서 나타나는 색감들을 활용하려고 하였습니다. 죽으면서 보여주었던 검붉은 색의 색감에서부터 여러 힘을 분포하게 됨으로써 만들어지는 다양한 색감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저는 이렇게 중점적으로 다루려고 하는 살색 안에서의 다양한 변화이지 넓은 색의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힘의 강도나 결합하고 갇히는 강도에 따라 핏기가 돌기도 하고 색이 밝아지기도 하는 것을 생각하면서 작업을 했습니다.

이한범 Giftgas(2019)는 소독 가스가 분사되는 연기를 보도하는 미디어의 영상 푸티지를 조합한 사운드가 강조된 영상 설치 작업입니다. 이는 당신이 확장된 회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읽히기도 합니다. 캔버스를 벗어나는 회화의 언어에 관심이 있다면, 앞으로 어떤 작업을 구상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하민지 회화가 아닌 다른 매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항상 고민해 왔습니다. 그래서 제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접근해 본 것이 Giftgas입니다. 그 이후로 다른 작업구상을 하면서 했던 고민이 ‘제가 생각하는 이야기를 어떻게 영상으로 보여줄 수 있을까?’ 였는데, ‘확장된 회화’라 말씀하신 것을 보고 접근을 다르게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회화와 다른 매체를 너무 구분 지어서 바라보고 있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고정된 상태가 아닌 다른 방향으로의 움직임들을 회화의 언어로 접근해서 구상해 보려고 합니다.


 

 

On a vast canvas is an industrial machine placed indifferently, entangled with chunks of flesh in the hard-to-describe shape. The chunks, as if having their own will, stop the machine and expand. It looks more like an imaginary painting than a representation of a particular subject. There seemed to be a long story hidden in the artwork that enabled such a scene. As I watched space in the yet-to-be-completed painting in the artist’s studio, I wondered how the chunks of flesh would grow. Rather than defining the meanings in the picture, I was driven to ask what kind of imaginations and stories are captured on the canvas. More than anything else, I thought it would be necessary to look at Ha Minji’s language of painting that arouses such imagination and story. I asked Ha on her previous works, and the new commission to connect the landscape of reality Ha has closely watched both as an artist and as an individual living inside this world to the language of painting she uses to address the landscape. Anyway, the audience would experience the material system placed in front of them, and through the artwork, ethics suggested by the artist is established. I hope this short conversation with the artist would serve as a guide to the artist’s entire artistic practice.

Hanbum Lee (“Lee”) The central theme in your works is the flesh of animals. I understand that you came to get interested in that theme or topic as the images of animals being mass-culled were aired through the media during the foot-and-mouth disease outbreak. Would you please tell me what you saw and heard and what you came to think about, in other words, what brought you to work on this theme?

Ha Minji (“Ha”) I saw the images of mass-culling in the 2010 and 2011 timeframe when the disease spread rapidly throughout the country. The scenes of animals buried alive were so cruel that it was hard to believe that was real. The squeals and lows of animals as they were thrown alive into a pit still linger in my ears. As I watched and heard
that, I fell apart and began to think that such a collective death of animals is not an issue unique to animals, but something not too distant from the collective death of human beings. That is how the question was formed inside whether it is possible to set humans apart from other animals. Such segregation was made possible thanks to the emphasis that humans are superior to other animals, I thought. Furthermore, I felt the need to erase the boundaries set by human needs. Then, I recalled the images of culling. As the pigs
were treated as useless masses, dumped into a mass grave, and buried alive, I saw bodies with nothing but wrinkles. They were not dened as a particular form. As they were connected and bumped into each other, they created a new shape. There I thought those wrinkles might guide us into a whole new direction,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dominant state of the present. I said that because those wrinkles that arose from the death of animals allowed me to dissect the animals as perceived by humans. Wrinkles in an unidentifiable state started to be created in my works as twisted and mixed images regardless of animals’ or humans.’

Lee As you just mentioned, ‘wrinkles’ of bodies stand out in your previous drawings. Wrinkles seem to be a valid form as they represent discarded bodies and present bodies as a mass with no boundaries on a at surface on the canvas. Then, how did the wrinkles become an important style in your paintings?

Ha I was not sure, at first, whether I could draw animals. ‘Is it really possible for me to draw animals?’ ‘Even if I reproduce them exactly, is it fair to say that they are animals?’ While I struggled with those questions, I saw the collapse of shapes in the death of animals. That is how I came to work with wrinkles, moving away from representing the shape-focused images of animals.

Lee The incident you address with your works, the time of watching the massacre of animals by humans, is a shared experience. Each of us reacted and responded to this experience. Some turned away and kept silent. However, to turn that experience into a subject of an artistic practice would take a totally different process and pace than translating an external event into a personal experience. I would like to know the process you’ve been through for the past 10 or so years since 2012 to explore this theme and realize it as artworks. You are a painter, and painting is a primary medium for you. I wonder how you discovered your own language of painting to ll this at space of the canvas. Let me take an example. In deapig pit (2014), wrinkles are gathered and stacked as in the oriental landscape paintings while one of your earliest pieces, Slaughtering Process 7 (2012) was more like a representation of the grotesque view of a meat factory.

Ha I started with the way humans consume animals. I went to study animal farms where animals live and how they are butchered. I learned that they are treated not as life but as commodity. They are presented only as a product while how they live and are made into meat is kept in the dark. So I produced works that explicitly show the images of slaughtering process which turns animals into meat, artificial marbling, and skins of animals that were skinned alive. However, such expression felt insufficient to reveal the fundamental problems. Around that time, a series of animal-borne outbreaks occurred including the foot-and-mouth disease and the avian influenza. Mass-culling, the only countermeasure to contain contagious animal diseases showed the death of animals plainly. I thought there is no guarantee that humans are exempt from such death and started to remove the boundaries set by humans to maintain humane life. The bodies buried and laid on top of each other during the outbreak of the foot-and-mouth disease get twisted and put together, and extended, creating bizarre movements rather than remaining in the place they are supposed to be.

Lee In Gestures Series (2014), one can see more intense attention to wrinkles. In this work appears not the shape of animals but that of human body. Hyperbolized wrinkles work as a force to more actively intervene in the human body. In other words, that allows other movement while turning the ‘inside of the skin,’ that is, a hidden area out. I could see more of your approach to wrinkles. Do the wrinkles that break down the shape of a human body present you a liberating possibility?

Ha In the works where the segregation between animals and humans is wiped out, you cannot tell animals from humans. At some point, I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focusing more on the human body because I saw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of humans revealed in the scene of animal death was no different. Humans, just like
animals, mercilessly discarded, and were driven to death. So I started to look for a new way of using a human body by expressing it as wrinkles and disturbing its predetermined functions. In that it breaks free from its predetermined functions, I believe there is a liberating possibility. I also suppose that they present dissection
and reconfiguration not exactly at the same level but with a wide range of possibilities.

Lee Let’s move onto the shape and form of wrinkles. I understand your paintings as a method to break and then reproduce shapes and forms. The painting, that is a response to the unethical aspect of the world or the disaster in reality, is realized through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body shape. Wrinkles seem to have been found as an energy that enables the fabrication of such a shape. I would like to know how far you intended to go when it comes to the collapse of the shape in the space of a canvas, where you stopped tearing down the shape, and what was revealed after that process. What’s really outstanding is that the collapsed shape didn’t lead to abstract images and looks like highlighting reality, a world of strange materiality.

Ha Even without breaking down the shape, wrinkles make things unidentifiable. That is how the animal-like shapes and human-likeshapes appear and come together to move forward as a different movement. I focused on removing boundaries of frame or forms and tried to create a movement of owing and stretching, a movement of resistance not to be merged into something else. That’s how they continue to be generated, twisted, and mixed and reach a place they are not supposed to be, in this weird pattern.

Lee In works like Obstacle Course (2019), wrinkles are gone, and chunks of flesh are brought to the forefront alongside an industrial slaughtering machine. Would you please elaborate on how you came about such a change?

Ha The machine in Obstacle course presents not just an industrial slaughtering machine but also the overlap of various machines. To be more precise, I used comprehensive images of ‘machinery,’ rather than any specific image of slaughtering machine. I used them because humans opened the world of standardization with machines and apply it to other life. Therefore, it is inevitable that machinery would appear in my works. Machinery, at a glance, seemed to be a perfect world of its own where small parts and componentsfit together. However, they are not able to accomplish a complete minglement as wrinkles do. So, I tried to make them function differently through movement into another direction. For your information, the work to be presented at the Busan Museum of Art features slaughtering machines only.

Lee I would like to hear mor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nks of flesh and machinery. It seems that the chunks of flesh perform an act of alliance to stop the operation of machinery. Machines ruthlessly follow a process while chunks of flesh represent unstructured shape with no clear boundaries among disparate entities.

Ha In the previous works, I depicted wrinkles as a way to eliminate the distinction between animals and humans. This time, I attempted to modify the arrangement of functions within a standardized system by connecting wrinkles with a property of innite expansion or transformation into another being. They come together to affect each other. They sometimes disturb existing systems and other times, extend machines. Freely moving wrinkles block the predetermined functions of machines and, at times, get inated and burst. These various movements I created.

Lee A life that resists and violently stops machine civilization with clear consciouness, a non-human working to build the rules of one’s own world is a beloved motif of sci- animations. Is there any work or worldview that you referred to?

Ha I might naturally have been influenced by various works to a certain extent. Still, there is no one specific work that inspired my work. After seeing my works, people would recommend related works, and I would look for some sci-fianimations. I have not watched all of them, but I felt there are some similarities with my works in that animals are not reproduced as perceived by humans, but dissected and imagined as a whole new being.

Lee The work features machinery, but there isn’t any human being operating it. Does that mean the machinery replaced humans?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machinery and chunks of flesh, in which way do humans exist?

Ha That’s correct. Machines designed to perform only as instructed produce nothing but standardized output. I regarded them as repeating brutal acts on behalf of human beings. I also viewed the system as applicable not just to animals but also to humans, and that is why animals, as well as humans, are expressed as one mass.

Lee Let’s turn to colors. The colors used for the chunks are very bright and clear. It’s colorful and even cheerful. This feels contradictory to the radical proposition suggested by the unstructured shape that halts the machinery and eliminates division. I wonder how such a shape came to have such a color.

Ha You used the expression, chunks of flesh. I worked to utilize colors from living flesh. The piece shows diverse colors with various intensities distributed including the darkish red color displayed at death. What I would like to show is the breadth of flesh colors. I don’t think I have a wide spectrum of colors. I focused on gradation of colors and different levels of brightness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combination and lockup and the level of intensity.

Lee Giftgas (2019) is a video installation that puts together video footage covering smokes containing sterilizing gases with emphasis on sound. I believe the work reveals your interest in the expanded form of painting. If that is the case and you are interested in the language of painting that goes beyond a canvas, what is your plan going forward for your artistic practice?

Ha I’ve always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using media other than drawing. Giftgas is something as much as I could do at that point in time. Since then, I have thought hard about how to show the story I am contemplating via video, as I pondered on ideas for other projects. The expression you used, ‘expanded form of painting’ inspired me to take a different approach. I think I have made unnecessary distinction between painting and other media. I would like to capture movements in various directions with the language of painting.


 

Giftgas, 2019, 3min
ⓒ 하민지
돼지골, 2014, 97.0 × 162.2 cm, 캔버스에 아크릴 채색
ⓒ 하민지